맨 앞 선수의 오른 다리 당겨오기(Recovery)의 연속동작을 보세요.
밀기가 완성되면,
오른다리가 완전히 펴진 상태에서
오른 무릎을 당겨오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① 현재의 오른무릎 위치에서 오른다리만 접는 것입니다.
즉, 오른 무릎의 굴곡운동(굽히기)을 하는 것입니다.
② 허벅지는 그냥 벌려있는 상태에서
오른다리를 접어서
오른무릎의 각도만 최소화되는 것입니다.
그래야 오른 무릎관절의 굴곡운동만 하게 되는 것입니다.
③허벅지가 벌어진 것을 보면,
아직 오른 고관절의 내전운동(허벅지 모으기)을 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④ 정면에서 보면,
오른무릎과 스케이트는 일직선 상에 놓이게 보입니다.
동호인들은 무릎을 먼저 당겨오고
스케이트가 나중에 따라들어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⑤ 아직도 허벅지가 벌어져 있고,
무릎을 굽히는 굴곡운동만 하고 있습니다.
이제 왼다리의 각도가 90° 정도 굽혀지는 굴곡운동이 끝나가고 있기 때문에
⑥ 오른 고관절을 이용하여 허벅지를 붙이는
고관절 내전운동(허벅지 모으기)이 진행이 됩니다.
오른다리의 각도는 그대로 90°는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무릎관절의 굴곡운동은 멈춘 상태에서
고관절을 이용한 내전운동(허벅지모으기)만 진행되고 있습니다.
⑦ 즉, 오른 고관절의 내전운동(모으기)으로
허벅지가 점차 붙어가고 있습니다.
⑧ 고관절의 내전운동은 중심의 모으기 운동입니다.
즉, 고관절은 '중심이동'이 주 목적입니다.
⑨ 오른무릎과 뒷꿈치가 얼음에 평행하게 놓여야 합니다.
⑩ 양 허벅지가 붙으면,
오른 고관절의 내전운동(허벅지 모으기)은 끝난 것입니다.
⑪ 그러다보니
밀기(Push-off)의 메카니즘이 끝나면,
당겨오기(Recovery)를 하는데
당겨오기 과정에서 '당겨오는 무릎 뒤로 돌리기'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다.
즉,
오른다리가 180° 펴져 있는 상태에서
무릎의 위치를 그대로 두고
다리를 90° 접는 무릎관절의 굴곡운동을 먼저 하다보니
당겨오는 스케이트가 뒤로 반원을 그리며 돌려지다보니
마치 당겨오기의 무릎을 뒤로 돌리기를 하는 듯이 보인다.
⑫아래 그림처럼,
오른 무릎의 위치가 높아져서는 절대로 안된다.
차라리 오른 무릎의 위치가 낮아지는 것은 괜찮다.
오른 무릎의 위치를 그래도 두고
오른다리를 접다보니
오른 무릎을 뒤로 '돌리기'가 진행되는 듯하게 느껴진다.
그래서 박성희 논문에서는 Recovery를 '당겨오기'라고 번역을 하지 않고
'돌리기'라고 번역한 경우도 있다.
상당히 일리가 있는 말이라고 생각된다.
무릎의 Down-Up이 같이 진행이 되면
더울 뒤로 '돌리기'가 진행하는 것처럼 보인다.
다음엔 뒤로 '돌리기'에 대해서 쓰겠습니다.
'iceskate아이스스케이트 > 쇼트트랙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코너의 왼무릎 리커버리에서 왼무릎을 빙면에 아주 낮게 깔아서 당겨오기를 해야.. (0) | 2008.12.01 |
---|---|
[스크랩] One Step-CrossOver의 핵심기술 설명. (0) | 2008.11.30 |
[스크랩] 허벅지 모으기 운동 (0) | 2008.11.26 |
[스크랩] 당겨오기는 무릎관절의 굴곡운동 후에 고관절의 내전운동을 해야... (0) | 2008.11.26 |
[스크랩] 몸통의 분절회전운동으로 왼칼날의 `감아 돌리기`와 오른 칼날의 크로스-오버가 이루어져... (0) | 2008.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