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당(한옥)과 식재 - 퍼온 글 벽과 건물에 의해 둘러싸인 빈 공간을 마당이라고 한다. 전통 한옥에서는 그 마당은 반드시 비어 있어야만 했다. 즉 나무를 심지 않았던 것이다. 그것은 마당이 지니고 있던 특수한 역할 때문이었다. 마당은 이동하는 통로로서 작업공간으로서 또한 각종 의식을 행사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때문에 마당.. 강의자료/설계자료 2008.11.19
경량철골천정틀과 목재천정틀, M바와 T바 공법 쪽지가 날라와서 차이점을 올립니다. 경량은 순수 철로 공사하는 것이고, 목공은 나무 다루끼를 사용합니다. 경량철골 천정틀은 말 그대로 틀을 만들어서 천장을 일자로 쳐내기에 정말 좋은 것입니다. 시간도 목공보다 너무 빠르며, 작업도 간단하고 깔금합니다. 철 작업이라서 시간이 지남에따라 목.. 강의자료/설계자료 2008.11.10
[스크랩] 전통정자 시방서 전통정자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목조 또는 철근콘크리트조의 전통정자 설치공사 일반에 관 하여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 중 이 시방서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 은 다음 시방서의 해당 사항에 따른다. 80330 경관구조물 81310 조경시설물 기본자재 및 시공 1.3 .. 강의자료/설계자료 2008.11.06
[스크랩] 맹씨행단(孟氏杏壇) 맹씨행단(孟氏杏壇) 조선전기 청백리로 유명한 맹사성(孟思誠 : 1360 ~ 1438)이 살던 집으로 그 후손들이 관리하며 유지되어 지금에 이르렀으며 현재 남아있는 살림집 중에 가장 오래된 것이다.다. 원래 고려 말의 무신 최영이 지은 집으로 그의 손자사위인 맹사성의 부친 맹희도가 물려받았다고 한다. 고.. 강의자료/설계자료 2008.11.06
[스크랩] 대이리 너와집과 굴피집 대이리 너와집과 굴피집(중요민속자료 221, 222) 너와집은 개마고원을 중심으로 한 함경도와 평안도의 산간지역과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한 강원도 등 화전민의 분포지역과 일치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산간지역 화전민들의 가옥이 곧 너와집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너와란 소나무 널빤지를 .. 강의자료/설계자료 2008.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