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자료/설계자료

지속가능한 건축이란?

IceBass 2008. 9. 1. 11:00

1. 지속가능한 건축(ESSD-environmentally sound & sustainable development)의 배경

 지속가능한 개발 이라는 개념은 1970년대에 IIED(Inter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 and Development)의 설립자인 Barbard Ward가 처음 사용하였으며 후에 UN의 세계개발위원회의 보고서에서 '지속가능한 개발은 다음 세대가 필요로하는 여건을 훼손함 없이 현 세대의 욕구에 부응하는 수준의 개발'이라고 공식적으로 정의했다.

이는 '우리는 이전 세대로 부터 물려받은 삶의 질을 보장하는 자산을 최소한 우리가 물려받은 수준으로 다음 세대에게 물려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속가능한 개발은 친환경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는 것이다. 친환경은 사람이 생활을 위해 만드는 인공적인 구조물 등을 최대한 자연과 어울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지속가능한 개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즉, 친환경의 실천을 통해 자연을 보호하고 인간생활에 있어 자연의 범위를 확장시키는 것이다. 지속가능한 개발의 필요성은 인간이 생활환경을 보다 좋게 만들기 위해 개발하는 과정에 있어 자연을 파괴하게 되면 지하자원의 고갈이나 환경오염등의 오히려 인간의 생활환경을 더 나쁘게 하는 부정적인 요소를 불러일으키는데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요소를 막기 위해 자연을 보호하면서 개발하기 위한다는 개념이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이다.

오늘날의 지구환경변화 - 온난화와 기후변화, 오존층 파괴, 생태계변화, 해수면상승, 에너지 고갈 등- 및 예측 가능한 환경재해는 이미 오래전부터 많은 사람들에게 그 경각심을 불러 일으켜 왔다.

그리하여 국제적으로 72년의 유엔 환경회의의 유엔인간환경선언과 더불어 87년 세계환경개발위원회에서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이 등장하고 92년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리우선언과 이후의 도교의정서까지 환경에 관한 관심은 날로 증대되어 가고 있다.

 그 중 목재사용 25% 에너지 사용량의 40% 이산화탄소 배출량 30~40% 물사용량 1/6을 차지하는 건축분야의 환경에 끼치는 영향은 지속가능한 건축, 그린빌딩의 개념이 등장하는데 부족함이 없는 것이다.

 그리하여 많은 국가와 단체에서 친환경 건축, 그린빌딩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고 그린빌딩의 건축을 장려하고 친환경 건축에 대한 기준과 규정을 세우기 위해 많은 인증들이 만들어 졌다.



2. 대표적 인증과 그 기준들

 1)LEED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미국에서는 그린빌딩기술의 연구, 개발, 보급을 촉진하기 위하여 USGBC(U.S. Green Building Council)가 조직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USGBC는 회원제로 운영되는 비영리단체로서 1993년 설립되어 그린빌딩 관련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국가차원의 표준체계를 설정하여 관련 연구결과를 교환하고 또 활용하기 위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이 USGBC가

LEED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개발을 주도하였으며LEED는 신축 혹은 기존의 상업용, 공공시설용, 고층 주거용

 빌딩의 등급을 매기기 위해 고안된 자체 평가 시스템이다. 그린빌딩의 구성요소에 대한 명확한 표준을 제공함으로써

LEED는 건물의 생애주기(life cycle)에 걸쳐 `건물 전체‘적 관점에서 환경성능을 평가한다. LEED는 이미 통용되고 있는

에너지 및 환경원칙에 기초하고 있고 이미 알려져 유효하게 시행되고 있는 사항들과 새로이 대두되는 개념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는 평가 시스템이다. 그린빌딩을 평가하여 획득점수에 따라 그린빌딩 등급구분을 하며 관련업체는

이를 그 업체의 이익창출과 수요개발을 위한 홍보에 이용하고 각종 금융․세제상의 혜택을 얻는다.

USGBC의 그린빌딩 LEED인증을 위한 필수선행조건

항목

내용

1) 석면 사용금지

석면 사용금지, 단 기존건물로서 이미 석면이 사용된 건물이면 관련기준에 맞는 석면처리계획 제시

2) 빌딩 커미셔닝

반드시 빌딩 커미셔닝 계획(효율적인 건물 에너지관리)에 의해 건축행위 추진

3) 에너지효율

관련기준에 따른 에너지 효율성 확보

4) IAQ

관련기준에 따른 IAQ 확보

5) 오존층 파괴물질 사용금지

오존층 파괴 물질/CFCs 사용금지, 단 기존건물이면 5년 이내 이러한 물질처리 계획제시

6) 금연

금연 건물일 것

7) 폐기물 재활용시설

관련기준에 따른 폐기물 재활용 시설 확보

8) 열적 쾌적기준

관련기준에 따른 열적 쾌적기준 만족

9) 수자원 보존시설

관련기준에 따른 수자원 보존시설 확보

10) 수질확보

관련기준에 따른 수질확보

* 총괄표 : 2000년 3월 개정, LEED 2.0 Version - 현재 시행 중

USGBC의 LEED그린빌딩 인증 기준

항     목

내          용

배점

비  고

1) 건축재료(7점)

① VOCs불포함 조치

② 지역 특산자재 이용

③ 기 사용되었던 자재의 재사용

④ 재활용 재료 사용

2점 

1점 

2점 

2점

 

2) 건설폐기물관리 (2점)

① 건설폐기물 관리계획

2점

 

3) 에너지 대책 (10점)

① 에너지 절약 조치

② 자연환기 및 자연형 에너지설계

③ 폐열 회수

④ 재생에너지 이용

5점 

1점 

1점 

3점

 

4) 기존 건물 개수 (2점)

① 구조체 75% 사용

② 구조체 100% 사용

1점 1점

  

보너스배점

5) 실내공기의 질, IAQ(4점)

① 건설중 IAQ관리

② 첨단기술에 의한 IAQ 관리

③ 영구적 공기의 질 감시장치 설치

1점 

2점 

1점

  

  

 

6) 조경/외부 디자인(3점)

① 침식 및 호우대응 대책

② 열섬 방지대책

1점 

2점

 

7) 재실자에 의한 재활용장치 설치(1점)

① 재실자에 의한 재활용 장치 설치

1점

 

8) 운전 및 관리시설(2점)

① 청소용 화학제제 저장 및 처리

② 실내청결을 위한 출입구에서의 조치

1점 

1점

 

9) 오존층 파괴물질/CFCs 등 사용금지(2점)

① 기계설비장치에서의 CFCs의 불사용

② 건축재료에서의 CFCs등 불사용

1점 

  

1점

 

10) 입지선정 (4점)

① 성토한 대지 또는 기존건물 재이용

② 통행장애저감 또는 기존건물 재이용

③ 부지보존/복구

④ 황무지 개발

1점 

1점 

1점 

1점

  

  

  

보너스배점

11) 교통 관계 (4점)

① 대체 교통수단 이용을 위한 시설

② 공중 교통수단 이용이 편리한 위치

③ 대체연료 공급시설 설치

2점 

1점 

1점

  

  

보너스배점

12) 수자원 보존 (4점)

① 물 소비절약 시설

② 배수 재활용 및 우수 이용시스템

③ 물소비 절약 쿨링타워 설치

④ 극한 조건에 강한 외부 조경

1점 

1점 

1점 

1점

 

13) 수질 (3점)

① 우수 등 지표수의 유류분리장치설치

② 비조경 대지에 우수 등 지표수의 침투성 재료사용

③ 생물학적 폐수 처리시설 설치

1점 

1점 

1점

  

  

보너스배점

 

                     

 2)BREEAM

  영국 건축연구소(BRE) 주도로 BREEAM이라는 등급 평가기준을 만들었으며 1990년대 초반부터 요소기술의 개발과

아울러 각종 가이드․북을 제작․보급하고 있다. BRE내에 The Environmental Building이라는 대표적 그린빌딩 외에

수많은 사례가 있으며 BRE가 이 기술의 개발․보급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아울러 설계자 리스트, 자재 리스트,

기술 핸드․북, 가이드․북이 보급되고 있고 국가차원에서 이의 건축을 권장하고 있다.


※BREEAM에 포함된 신축 사무소건물의 환경영향 평가항목

 

part 1.건축물과 서비스

part 2.운영 및 관리

지구적 차원

CO2 방출

 - CO2 방출량에 따른 점수차이

 - 각 입주자에 대한 개별적인 CO2 발생량 점검여부

 - 각 입주자에 대한 보조적인 CO2 발생량 점검여부

  

  

 

 - 훈련된 요원과 최고경영진이 승인한 에너지 정책 유무

 - 건물에너지 auditing의 구비여부

 - monitoring/targeting시스템 구비 여부

 - 에너지 효율향상을 위한 투자 계획

 - 시설 운전 manual 유무

 - 에너지사용 정보의 규칙적 배포

 - 규칙적 시스템 유지관리 일정 유무

오존층 파괴

 - ODP지수에 따른 인증/공조 안함

 - 냉매유출감시 시스템

 - 냉매재생설비

 - Halon소화설비 배제

 - 냉매유출에 대한 정규적인 조사

 - Halon의 불필요한 방출의 최소화

 - Halon 소화설비 배제

 

지역적 차원

물절약

 - 수량계, 6리터 이하의 대변기, 물사용 소변기에서의 절수장치 중 2개 이상

 

레지오네르 질병

 - 증발 냉각탑이나 압축기의 비사용

 - 냉각탑에 대한 정규 관리시스템

실내 

환경

조명

 - 고주파 안정기 설치

 - 조명기기 청소 및 교체계획

공기질

 - 실별 개폐가능 유리창 혹은 기계환기설비

 - 습도유지(no humidification)

 - 꽃가루 제거가 가능한 효율적 여과장치

 - 흡연으로 인한 건강위험을 피하기 위한 조치

 - 규칙적인 필터 교체

 - 800 ppm 이하의 CO2 농도

 

환경 

정책

 

 - 공개되고 확립된 환경정책 유무

 - 환경에 피해를 주는 재료의 구매를 금하는 정책 유무

 - 재사용 불가능한 재료의 구매를 금하는 정책 유무


 


3)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우리나라의 건설교통부와 환경부에서는 1999년에 건설에 따른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국토의 난개발을 예방하기 위하여

건축물에 대한 환경인증제도(주거환경우수주택 시범인증, 그린빌딩 시범인증)의 시행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건설교통부와

 환경부가 각각 환경인증제도를 시행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국민들의 혼란과 정부행정력의 낭비를 예방하고자 양 제도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보완하여 통합을 추진하여  2001년 12월에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가 시행․공고되었다.  

  친환경건축물을 지속 가능한 개발의 실현을 목표로 인간과 자연이 서로 친화하며 공생할 수 있도록 계획․설계되고

에너지와 자원 절약 등을 통하여 환경오염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쾌적하고 건강한 거주환경을 실현한 건축물이라고

정의하고 자연친화 환경오염 부하저감 쾌적성을 주요소로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친환경건축물 인증심사기준(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부   문

범   주

분류번호

통 합 기 준

세 부  평 가 기 준

배 점

1.토지이용 및 교통

1-1.토지이용과 토지질에 있어서의 변화

111

R2-2 기존대지의 생태학적 가치

생태학적 가치가 낮은 대지 면적

2

112

R2-1  체계적 상위계획 수립 여부

도시설계 ․ 상세계획 수립여부, 지구단위계획수립여부, 기타 주변과의 조화를 고려한 계획 수립여부

2

113

R2-5 용적률

계획 용적률 평가 Y=(-X+220)/10

6

1-2 인접대지영향

121

L4-1 인접대지에 대한 일조권 간섭방지 대책의 타당성

지반 인접 대지 경계선으로부터 심사대상 건물 각 부분의 높이를 잰 최대앙각

2

1-3 교통

131

T1-1 대중교통에의 근접성

대중교통시설(철도역, 지하철역, 버스터미날, 버스정류소)과의 도보거리 

2

132

T1-2 도시중심 및 지역중심과 단지중심간 거리

도시중심 및 지역중심과 단지중심간의 직선거리에 따라 평가

2

133

 T1-3 단지 내 자전거 보관소 및 자전거도로 설치여부

세대수의 일정비율이상 자전거보관소를 설치하고 자전거 전용도로를 단지내외부와 연계시킨 정도

2

1-4 거주환경의 조성

141

T2-1 단지 내 보행자 전용도로 조성여부

보행자 전용도로 조성 상태 평가

3

142

C2-2  외부 보행자 전용도로 네트워크 연계여부

보행자 전용도로와 외부와의 연계 정도

1

143

 C4-1 단지주변 하천, 산림 등으로의 접근성

단지 주변의 하천, 산림, 근린공원과의 인접여부 및 거리 평가

2

144

S5-1 커뮤니티 센터 및 시설계획 여부

단지 내 일정수준 이상의 커뮤니티 시설이나 커뮤니티 공간의 조성 여부

3

2. 에너지 자원 및 환경부하

2-1. 에너지

211

R1-1 에너지 소비량

에너지소비량 평가점수 Y=12X(EPI점수-60)/25(계산결과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 평가점수가 12점을 초과하는 경우 12점

12

2-2. 자원의 절약

221

S1-1 라이프사이클 변화를 고려한 평면개발

가변형, 병합형 및 주문형 평면 적용 세대 비율

3

222

R5-3 환경친화제품 사용

심사대상건물의 환경마크, GR마크를 획득한 제품수

2

223

R5-2 생활용 가구재 사용억제 대책의 타당성

방면적 대비 수납공간 비율

1

224

R5-1 환경친화적(공업화) 공법 및 신기술 적용

심사대상건물 총공사비 대비 공업화건축 공사비 및 국가공인 신기술 채택 적용 여부

3

2-3.환경오염부하

231

L1-1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난방부하의 20% 이상을 열병합발전의 배열을 이용하기나 사용 에너지 및 이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산정하여 평가

3

232

L2-1 재활용 생활폐기물 분리수거

재활용 생활폐기물 보관시설 및 분리품목 종류에 따라 평가

1

 

 

233

L2-2 음식물 쓰레기 저감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를 위한 저장, 취급시설과 처리시설 및 세대 내 음식물 쓰레기 탈수기 설치 유무에 따라 평가

1

2-4. 수자원

241

R3-1 생활용 상수 절감 대책의 타당성

기준건물대비 심사대상건물의 일일 1인당 상수 사용량 절감율

3

242

R3-2 우수 이용

우수를 이용한 살수용수, 조경용수 등으로 이용하는 시설의 설치 여부에 따라 평가

2

243

L3-1 우수부하 절감대책의 타당성

투수성 포장을 한 포장면적 비율과 지상주차장 둘레, 도로변, 산책로변 길이에 우수침투시설을 한 비율

3

2.5. 관리

251

M1-1 시공시 환경관리 계획의 타당성 및 시행

건설현장에서 환경에 민감한 사항에 대한 관련법규 및 산업규격요구수준 만족정도

1

252

M2-1 운영/관리 문서 및 지침 제공의 타당성

심사대상건물 및 관련 장비/설비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적절한 문서가 작성되어 있는지의 여부 평가

2

253

M2-2 사용자 매뉴얼 제공

입주자들에게 사용자 매뉴얼을 제공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평가

1

254

S5-2 정보통신 및 첨단 생활설비 채용의 타당성

초고속정보통신설비 1등급 수준 이상  설치시(2점), 2등급 수준 이상  설치시(1점) +인터넷생활컨텐츠/네트워크제공  계획시(1점)

3

3. 생태환경

3-1.자연자원의 활용

311

R2-4 표토재활용율

전체표토량 대비 식재지반에 활용한 재활용 표토량의 비율

1

3-2.단지내녹지공간조성

321

S4-2 생태환경을 고려한 인공환경녹화기법 적용여부

옹벽대체녹화, 인공지반 녹화, 입면녹화에 대해 면적 및 난이도를 감안한 산식으로 평가

4

322

C3-1 녹지공간률

녹지공간 법적 기준 대비 추가 조성률

5

323

C3-2 연계된 녹지축 조성

단지내부의 연속된 녹지축 조성, 단지 녹지축과 외부녹지와의 생태적 연결 여부

2

3-3. 생물서식공간 조성

331

C5-1 수생비오톱 조성

대지면적대비 수생비오톱 조성률과 조성기법에 따라 평가

3

 

332

C5-2 육생비오톱 조성

대지면적대비 육생비오톱 조성률과 조성기법에 따라 평가

3

4.실내환경

4-1. 공기환경

411

Q1-1 휘발성 유기물질 저 방출자재의 사용

□ (가중치① × 0.5) + (가중치② ×1.5)으로부터 산출                      □ 가중치 : ①UFFI 사용시(0), 미사용시 (1)

②휘발성유기물질 방출량 기준이하 제품수별 가중치 1개 자재(0.25), 2개 자재(0

3

 

412

Q1-2 자연환기 설계의 정도

환기구 또는 장치설비 유무 및 환기 설계 정도

3

4-2. 온열환경

421

S2-1 각 실별 자동 온도 조절 장치 채택 여부

각 실별 또는 난방 존별 자동 온도조절장치 적용 비율

2

4.4. 음환경

441

Q2-1 세대간 경계벽 차음성능 수준

한국산업규격(KS F 2809)에 의한 실간 음압레벨차 측정결과와 설계도면에서의 벽체구조체(철근콘크리트 옹벽의 경우) 두께 중 유리한 것으로 평가

3

4.5. 실내공간

451

S4-1 발코니 녹지공간 비율

발코니 녹지공간 조성비율

2

452

S5-3 노약자, 장애자 배려의 타당성

노약자 및 장애자를 배려한 설계 수준에 따라 평가

1




3. 인증기준들과 재료와의 상관 관계


  위에서 보았던 다양한 인증과 그 기준들은 상당히 까다로운 잣대로 건축물을 평가하고 있다. 에너지를 절약하고 생산하고 재사용하는 많은 설비들과 물을 절약하고 재사용하는 기술들, CO2 발생량을 줄이기 위한 기술들, 공기 빛 음환경 뿐 아니라 주변의 건물 환경 자연과 어떻게 조화를 이루느냐 까지 많은 기술, 사람이 새집증후군과 해로운 물질들에서 안심하고 편하고 쾌적하게 살 수 있는 믿을 수 있는 재료의 사용, 설비 들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재료의 발견과 사용은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