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선병국 가옥(1) - 행랑채/안채
소재지 : 충북 보은군 외속리면 하개리 154번지
보은에서 속리산 방향으로 30리쯤 떨어진 곳에 보은 선병국(宣炳國) 가옥이 위치하고 있다. 보은 선씨가는 원래 전남고흥에서 살던 보성선씨였는데 전국을 돌다가 집터를 찾다가 이곳이 물에 뜬 형상인 연화정수형이어서 자손이 왕성하고 장수를 기원할 수 있다하여 정착하였다는 얘기가 있다.
중요민속자료 제 134호 1919~21년 사이에 지어진 이 집은 전통적 건축 기법에서 벗어나서 간살이나 높이등을 크게 하는 경향으로 변화를 보이던 시기의 대표적 건물이다. 집은 안채와 사랑채 및 사당의 3공간으로 구획하여 안 담으로 둘러싸고 그 밖을 바깥 담 남 쪽에 설정돼 있는 집의 어귀솔밭에 이 집 할아버지 선씨의 효자정각 대문과 담장을 갖춘 다포집 형식의 건물이 서있다.
바깥 대문은 3칸 솟을 대문이며, 이것과 축을 같이하여 사랑대문과 사랑채가 배치되어 있다. 사랑대문은 조그만 일각대문이고, 사랑채는 H자 형 평면으로서 가운데는 커다란 대청을 두고 양편으로 구들을 배치하였으며,. 서쪽은 앞으로 서루와 뒤위 구들, 동쪽은 앞으로 약방과 마루, 구들을 시설했다.
안채는 사랑채의 축과 직각으로 꺾어서 서향하여 배치했다. 평면은 역시H자형이며 이를U자형 행랑채가 둘러싸서 안마당 공간을 형성한다. 행랑채의 남쪽 끝에는 솟을 대문을 덧달아서 안대문을 시설했는데, 바깥 대문에서 ㄱ자로 꺾어져 안채에 이르도록 계획되어 있다. 안채의 평면구성은 사랑채와 같이 중앙에 대청이 있고 왼 쪽에 안방,,오른쪽에 건넌방이 놓였는데, 왼쪽 날개엔ㄴ 모방, 부엌, 부엌마루,부엌방과 오른 쪽 날개에는 곳간, 마루방, 갓방, 부엌, 다락이 배치되어있다. 사당은 행랑채의 북쪽에 행랑채와 축을 맞추어 배치했는데 3칸의 솟을 창문, 3칸의 사랑채 및 이와 ㄱ자로 놓여진 3칸의 제수채로 구성되어있다.
배치도
1.솟을삼문.
정면 3칸, 측면 1칸.
2. 행랑채
33칸의 "ㄷ"자형 건물이다. 우진각 홑처마 3량집.
안채와 행랑채 입구인 중문.
안채 마당에서 본 중문. 우측이 행랑채.
2. 안채
정면 8칸, 어칸 부분 3칸, 측면 3칸에 좌우측면이 앞뒤로 2칸씩 돌출된 "H"형 평면이다.
홑처마 팔작집으로 어칸은 7량이며 좌우측 돌출된 부분은 5량으로 결구되어 있다.
주초에 있어서 외부 초석은 팔각주초석이며 내부의 초석은 사각주초와 자연주초가 혼재되었다.
전면 기둥은 민흘림의 원기둥이고, 그 외 기둥은 사각기둥이다.
화강석 2벌대 기단.
추녀.
현판. 위선최락(爲善最樂) : 선을 행하는 것이 최고의 즐거움.
툇마루.
들어열개문.
머름위에 띠살문, 띠살문 위에 팔각형의 광창.
평난간.
회첨.
고삽.
배면.
지붕위에 까치구멍.
안채 좌측면도
안채 뒤 협문.
안채 뒤편의 마당에 나열되어 있는 장독들.
'강의자료 > 설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신리의 너와집 - (구)김진호 가옥 (0) | 2008.11.06 |
---|---|
[스크랩] 무안 나상열 가옥 (0) | 2008.11.06 |
[스크랩] 보은 선병국 가옥(2) - 사랑채/사당/효열각 (0) | 2008.11.06 |
[스크랩] 괴산 청천리 고가 (0) | 2008.11.06 |
노출콘크리트 외벽상세 (0) | 2008.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