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eskate아이스스케이트/쇼트트랙 이론 [스크랩] 밀기의 `비틀기`현상 IceBass 2007. 11. 6. 20:30 수평 밀기는 매우 중요하다. 참고 : 빨간색 기둥은 '다리의 밀기동작'이구요, 까만색 기둥은 '상체의 중심이동'를 표시한 것입니다. 수평 밀기는 매우 중요합니다. 아래의 애니메시션은 1) 왼다리의 수평밀기를 표현한 것입니다. 밀기의 메카니즘에서 상체인 머리+어깨+몸통+엉덩이의 선이 수평으로 밀려나가야 합니다. 간혹, 왼다리를 수평으로 밀기만, 상체가 더 우측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몸이 돌아간다고 하지요. 스켓터 본인은 많이 '밀기'를 한다고 생각되지만, 실제로 '중심이동' 작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비 효율적인 운동량이죠. 보통, 아마추어 동호인들의 경우 상체가 X축으로 좌우 흔들림이 많죠. 세게 '밀기'를 한다고 생각했는데 속도가 잘 안 나는 경우, 여러 요인이 있지만, 상체의 좌우 흔들림이 있는지 관찰해 봐야합니다. 2) 오른 다리의 수평 밀기를 표현한 것입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오른다리 밀기의 메카니즘에서 상체인 머리+어깨+몸통+엉덩이의 선이 수평으로 밀려나가야 한다. 특히, 첫코너의 오른다리 밀기는 상체인 머리+어깨+몸통+엉덩이의 선이 흔들려서는 안 됩니다. 매우 중요한 사항입니다. 보통은 코너링을 하려고 상체를 안쪽으로 '비틀기'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현상입니다. 오른다리 밀기를 완성한 후 크로스-오버를 하기 위해 오른칼날이 머리 앞을 지나가야 하는데, 1) '비틀기' 현상 때문에 칼날과 머리와의 거리가 더 멀어지게 됩니다. 즉, 크로스-오버가 힘들어지게 됩니다. 오른칼날을 당겨와야 할 거리거 더 멀어지게 됩니다. 더 중요한 것은 2) 코너에서 오른다리 밀기를 완성했는데, 양 칼날이 11자 형이 아닌, V 자 형의 부채꼴 모양으로 벌어지는 경우, 대부분, 몸통 '비틀기'를 했기 때문입니다. 엉덩이를 축으로 해서 어깨와 머리가 좌측으로 5~10° 정도 '비틀기'가 되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즉, 상체의 비틀림 현상 때문에 왼칼날의 착지 방향이 왼쪽으로 벌어짐니다. 이때, 오른 칼날을 보면, 칼날이 벌려져 있는 경우를 봅니다. 왼칼날의 착지가 잘 못 된 것이 아니라 오른다리 밀기 메카니즘에서 몸통의 '비틀기' 현상 때문에 그렇습니다.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이것은 Coiling 현상과는 다름니다. 3) 특히, 코너에서 크로스-오버를 여러번 할 때는 상체의 중심 축이 흔들려서는 절대로 안 됩니다. 상체가 '좌우 상하'로 '흔들림' 현상이 발생되어서는 안 됩니다. 동계올림픽 대회 때, 진선유 선수가 마지막 2~3 바퀴 남았을 때 코너에서 절대 스피드를 내면서 오른다리밀기-> 오른다리 크로스-오바 -> 왼다리 밀기의 스트로크를 여러 번 하면서 밖으로 치고 나가는 장면들을 봤을 것입니다. 이때 상체인 머리+어깨+몸통+엉덩이의 선이 '비틀림' 현상이나, '흔들리'현상이 없이 상체를 꽉 잡고 코너링을 하는 것을 봤을 것입니다. 상체가 흔들리면, 하체를 쓸 수가 없어서 빠른 크로스-오버가 불가능합니다. 4) 코너를 빠져나오는 마지막 오른다리 밀기에서 상체의 '비틀기'현상이 나타나면 트랙 안 쪽으로 깊숙히 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직선에서는 진행방향이 Y축 방향으로 가야하는데, X축 방향인 왼쪽으로 깊이 들어갔다가 왼다리 밀기로 빠져나오는 직선활주를 하시는 분들은 오른 다리 밀기에서 상체 '비틀기'현상이 있는지 의심해 봐야 합니다. 출처 : 강릉스케이팅연합회글쓴이 : 태백산 원글보기메모 :